목록플랜트 (16)
인도네시아 생활기

오늘 포스팅은 DCS에 관해서 간략하게 써보고자 한다. 프로그래밍이나 공장자동화쪽으로 관심을 조금만 가진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PLC가 무엇인지 알것이다. PLC란 프로그램 로직 컨트롤러 라는 것으로 흔히 자동화장비에 많이 사용되는 제어장치다. 이런 PLC 장치를 플랜트에서도 사용하는데, 이를 플랜트 업계에서는 보통 DCS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PLC와 DCS는 그 기능은 비슷하여 같아보이지만, 데이터를 처리하는 양에 있어서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단순히 용어상으로는 PLC는 제어기에 그 포커스를 둔 것이고, DCS는 시스템 자체에 대해서 포커스를 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과거 PLC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릴레이로 설비를 운영하였으나, 이후 PLC가 개발되면서 물리적인 크기나 효율성의 문제로 P..


파이프와 튜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Pipe Tube ASME B31.1 Power Piping 둥근단면적을 가진 튜브이며, ASME B31.10M과 ASME B36.19M에 의해 제작된다. 둥글거나 그 이외의 단면을 가진 움푹들어간 제품 ASME B31.3 Process Piping 압력이 있는 원기둥이며, 유체나 유압을 전달 튜브 또는 튜빙이라는 것은 압력용으로 사용될 경우, 파이프처럼 취급됨 정리하면 파이프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반면, 튜브의 경우에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튜빙이라는 것은 압력이 있는 곳과 없는 곳에 모두 사용할 수 있음. 특히 압력이 있는 곳에 사용되는 경우 파이프라고 함. ASTM CODE의 경우에도 Pipe와 Tube는 서로 다른 코드로 제작 통상 계장(Inst..

블로그를 만들어둔지 한참을 지나서 배관설계 프로세스 관련 자료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해당 자료는 플랜트 배관설계 부문으로 취업을 하게 된 사회초년생이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현직인 분들께서 보시고 혹시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주신다면 겸허히 수용하고, 함께 토론의 장으로 만들 수 있는 게시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배관설계는 크게 2개의 영역으로 나누게 된다. 1. 배관기본설계(配管基本設計;Basic Design) 2. 배관상세설계(配管詳細設計;Detail Design)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총 3가지 이상의 과정으로 나누게 되는데 다음 그림을 보며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Process 부문에서 PFC(Process Flow Diagram)과 UFD(Utility Flow Diagra..

이전 포스팅에서 뜬금포로 P&ID 심볼과 레전드를 달랑 올려놓고 마무리 지었다. 사실 심볼, 레전드 부분은 그냥 열심히 외우거나 이해를 하면서 눈에 익히는게 최고인 것 같다. P&ID(내지는 'PID')는 Piping and Instrument Diagram의 약자로 EPC 플랜트 설계에서 일종의 구체적인 방향을 정해주는 지도와 같은 역할로 보면 된다. PID 이전에는 PFD(Process Flow Diagram)이나 HMB(Heat and Mass Balance)와 같은 정보를 FEED 측에서 넘겨주면 이를 바탕으로 EPC업체에서 P&ID를 받아오거나, 일부 직접 수정을 하여 클라이언트와의 협의를 통해 최종 수정을 한다. 내부에 적혀있는 기호나 약어, 심볼 등은 엔지니어링 코드나 클라이언트가 제시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