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플랜트 (16)
인도네시아 생활기

오늘은 조금 이 주제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고 싶었다. 몇 일 전부터 조금씩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오늘에서야 어느정도 머릿속에서 정리가 된 것 같다.(정확히는 정리라기보다는 하고 싶은 말들이 너무 많았다) 기계공학 전공자 나는 기계공학을 전공했다. 정확히는 농업기계공학. 생물산업기계공학이라고도 하는데 이 영역이 이름이 생소해서 그런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전공이라는 소리도 듣는다 "그런 전공도 있나?" "집이 농사 지으니 도움되겠네" "농업이 유망한 분야니 좋은 전공 택했었네" 전국에 20개도 안되는 학교, 특히 대부분 국립대에만 존재하고 있으며(간혹 사립대도 있다.) 우리집이 농사를 짓는걸 아는 사람은 그런게 도움이 되겠다 내지는 앞으로의 농업의 유망성을 바라보고 좋은 전공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학..

저자들의 40년 이상의 경험을 담은 이 책은 배관엔지니어에게 있어서 매우 좋은 레퍼런스라고 생각되어 포스팅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책들은 배관공학 개론의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실무적인 내용과 관련하여 실제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EPC플랜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보여주기가 쉽지 않다. 더군다나 이 책의 초반에 나와있듯 배관에 있어서는 총 5가지 정도의 역할로 나뉘어서 설명을 하고 있다. 1) 프로세스엔지니어 2) 머터리얼 관련 엔지니어 3) 시스템 엔지니어 4) 배관 디자이너(여기서는 아마 단순 캐드 작업을 하는 Drafter라고 판단된다) 5) Piping Mechanical Engineer. 특히 5번과 관련한 실무 정보를 담은 도서는 사실상 바이블이라고 불리우는 ASME B31 Code Document..
(1) 설계입수정보의 리뷰 배관설계의 설계상류정보는 특히 P&IDㅇ가 가장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보의 확정도,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후속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2) P&ID의 리뷰 P&ID의 작성하는 프로세스부문은 일반적으로 플랜트의 성능, 운전, 효율을 주로 고려하게 된다. 배관의 설계에서는 P&ID를 기초로 하여, 배관의 레이아웃으로 진행을 하게 되며 플랜트전체의 공간설계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배관설계의 부문은 플랜트의 안전성, 조작성, 통행성, 건축성, 유지보수성, 경제성등의 관점에서 P&ID를 리뷰하는 것이다. 설계부터 조달, 건축을 진행하고 플랜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서 모순없이 P&ID의 요구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
JIS규격 (JIS G3454-2012) ASME규격 (ASME B36.10M-2015) 호칭지름 A 호칭지름 B 외경(mm) NPS DN 외경(mm) 6 1/8 10.5 1/8 6 10.3 8 1/4 13.8 1/4 8 13.7 10 3/8 17.3 3/8 10 17.1 15 1/2 21.7 1/2 15 21.3 20 3/4 27.2 3/4 20 26.7 25 1 34 1 25 33.4 32 1-1/4 42.7 1-1/4 32 42.2 40 1-1/2 48.6 1-1/2 40 48.3 50 2 60.5 2 50 60.3 65 2-1/2 76.3 2-1/2 65 73 80 3 89.1 3 80 88.9 90 3-1/2 101.6 3-1/2 90 101.6 100 4 114.3 4 100 114.3 125..
NO ABBREVIATION FULL NAME 용 어 해 설 1 2D 2 DEMENSION 2차원 2 3D 3 DEMENSION 3차원 6 AARH AVERAGE ARITHMETICAL ROUGHNESS HEIGHT 평균 표면 거칠기 10 ACFM ACTUAL CUBIC FEET PER MINUTE 실 운전조건에서 분당 흐르는 가스의 량 11 AFC APPROVED FOR CONSTRUCTION 제작을 위한 승인 완료 12 AFD APPROVED FOR DESIGN AFC전단계로써 상세설계용으로 승인 받은것 13 AGA AMERICAN GAS ASSOCIATION 미 가스 협회 15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16 AIA AMERICAN INSURANCE ASSOCI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