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생활기

Summary of Piping Design ; 配管設計の概要;배관설계 개요 본문

(前) PLANT DESIGN/Plant 설계공부

Summary of Piping Design ; 配管設計の概要;배관설계 개요

인니외노자 2021. 6. 13. 19:04

블로그를 만들어둔지 한참을 지나서 배관설계 프로세스 관련 자료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해당 자료는 플랜트 배관설계 부문으로 취업을 하게 된 사회초년생이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현직인 분들께서 보시고 혹시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주신다면 겸허히 수용하고, 함께 토론의 장으로 만들 수 있는 게시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배관설계는 크게 2개의 영역으로 나누게 된다.

 1. 배관기본설계(配管基本設計;Basic Design)

 2. 배관상세설계(配管詳細設計;Detail Design)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총 3가지 이상의 과정으로 나누게 되는데 다음 그림을 보며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Process 부문에서 PFC(Process Flow Diagram)과 UFD(Utility Flow Diagram)을 포함한 Equipment 리스트와 데이터시트, 라인데이터시트를 작성한 것을 받아온다. 여기까지가 Process Engineering에서 정해주는 영역이다.

 

이를 바탕으로 배관 기초설계를 들어가게 된다.

 

배관 기초설계에서는 Plot Plan과 Equipment에 대한 배치도 및 P&ID(Piping & Instrument Design), Line Index를 정하게 됩니다. 동시에 배관기준서가 작성된다.

 

이후에 디테일 설계를 보통 클라이언트마다 다르겠지만 두 단계로 나누어서 생각을 하는데, 결국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세 정도의 차이라고 보는게 맞는 것 같다. 디테일 디자인 1에서는 FEED와 클라이언트가 제공한 기초 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디자인이고, 대략적인 방향성이 정해진 상태로 큰 틀은 여기서 정해진다. 디테일 디자인 2에서는 큰 틀이 정해진 것을 바탕으로 이를 세부적으로 표현하고 Drawing을 하는데 주안점이 맞추어져있다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필자가 받은 업무 프로세스 절차도와 저 그림과는 비슷하면서도 차이를 보인다. 결국 클라이언트가 어느 정도까지 본인들이 우리 회사에 일을 맡기는가에 따라 진행되는 그림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로 들린다. 

우리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가 위와 같은 형태인데 사실 이 부분은 개론적으로 배운 부분과는 살짝 어긋나는 부분도 있을 것이고, 각 프로젝트나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걸로 보이기에 큰 흐름만 알아가는 걸로 생각하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