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생활기
[설계공부] 플랜트 배관 품질관리 본문
(1) 설계입수정보의 리뷰
배관설계의 설계상류정보는 특히 P&IDㅇ가 가장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보의 확정도,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후속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2) P&ID의 리뷰
P&ID의 작성하는 프로세스부문은 일반적으로 플랜트의 성능, 운전, 효율을 주로 고려하게 된다.
배관의 설계에서는 P&ID를 기초로 하여, 배관의 레이아웃으로 진행을 하게 되며 플랜트전체의 공간설계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배관설계의 부문은 플랜트의 안전성, 조작성, 통행성, 건축성, 유지보수성, 경제성등의 관점에서 P&ID를 리뷰하는 것이다.
설계부터 조달, 건축을 진행하고 플랜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서 모순없이 P&ID의 요구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그외 입수정보의 리뷰
패키지 기기, 가열로, 에어핀쿨러(AFC), 펌프, 컴프레서 등 벤더도면등의 정보는 아래와 같은 관점에서 리뷰를 진행한다.
(a) Plot Plan의 리뷰
(b) 계획된 Plot Plan에 대해 Equipment의 크기, 높이, 노즐의 위치가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확인
(c) 배관레이아웃, Information, 3D 모델링에 대해서 배관의 접합부의 사이즈, 플랜지 규격, 재료사양, 접합부의 구분, Loading Data의 여부등의 확인
(d) 배관계으의 메카니칼 해석에 대해서, 접합노즐부의 허용하중, 이동량, 고정점 등의 배관의 메카니칼 해석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에 대한 확인
(4) 배관 레이아웃과 3D모델링의 리뷰
플랜트의 각설비들은 배관레이아웃작업에 의해 구현되며 3D모델로 작성된다. 작성된 3D 모델을 가상장치로 보고 플랜트의 기능(프로세스, 운전, 조작, 메인터넌스, 안전, 환경)과 건축성, 경제성등의 설계검정을 진행한다. 통상 3D모델링을 통한 리뷰라고 부르게 되며 3D 모델의 진행에 맞춰 30%, 60%, 90% 리뷰로 3번에 나누어 진행된다.
'(前) PLANT DESIGN > Plant 설계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랜트 배관 직무] 플랜트 설계 관련된 좋은 영상 (4) | 2021.11.27 |
---|---|
[설계공부] 배관재료사양서 및 배관재료조달사양서의 작성 (1) | 2021.07.23 |
[설계공부] JIS규격과 ASME규격의 배관호칭지름, 외경 비교 (0) | 2021.06.27 |
[설계공부] 배관 관련 약어 및 용어해설 (0) | 2021.06.27 |
[설계공부] 배관두께스케줄 (Wall Thickness Schedules) / <JIS B2311/2312/2313 기준> (0) |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