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생활기

[계약직] 르노삼성자동차 계약직 생산직 14주차, 15주차 후기/백신/비가동일/협력업체/신세계포인트 본문

LIFE/KOREA LIFE

[계약직] 르노삼성자동차 계약직 생산직 14주차, 15주차 후기/백신/비가동일/협력업체/신세계포인트

인니외노자 2021. 9. 12. 20:24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에 포스팅을 다시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이 몇몇 겹쳐 해결하는데 시간을 좀 보내고 왔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14주차, 15주차 후기부터 작성하겠습니다.

14&15주차 후기
우선은 크게 바뀐것도 없는 것 같지만 또 은근히 바뀐게 몇몇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속도가 50UPH로 올라갔다는 점과 한 동안 생산할 일이 없었던 SM6(코드네임 LFD)를 본격적으로 생산하는건지 하루에 2-3대는 꾸준히 나오는 것 같더라구요. 다들 반응이 달랐는데 대표적으로는

“팔리지도 않는데 또 생산하네”
“사골이다 사골!”

올해 들어온 계약직 한정해서는

“아 할줄 모르는 차들이 계속 나오네 아….ㅆ&@*#$”
“정신이 없다 정신이”

등의 반응이 있었습니다만

다행히 회사에서 LFD가 나오는 경우에는 바로 뒤에 대차에는 공대차(대차에 조립할 차량을 올려놓지 않는걸 공대차라 말합니다)로 해주기에 다행이었던 것 같습니다.

신세계포인트
저번 포스팅에서 창립기념일 선물 관련해서 이야기를 했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입사하지 않으신 분들이나, 받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포스팅하겠습니다.

우선은 회사 인트라넷을 통해서 들어가야하기에 회사에 있는 컴퓨터를 사용해야합니다. 보통 공정장님 컴퓨터를 통해서 들어가서 가입하는데, 이는 공정장님이나 릴리프님들께 양해를 구하고 도움을 얻으시는게 거의 필수입니다.

우선 인트라넷에 들어가려면 본인 사원번호랑 비밀번호가 필요한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회사 인사팀에서 각 공정장님들께 보낸 메일 안내자료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저는 공정장님이 해주셔서 잘 모릅니다.)

그렇게 해서 인트라넷에 들어가면 본인 계정의 회사이메일을 볼 수 있을겁니다.

예시로 들자면 gildong.hong@renaultsamsungM.com 으로 이메일이 나와있을겁니다.

여기서 실제 SSG닷컴에 들어가서 임직원 인증을 할때는 samsumgM을 지우고, gildong.hong@renault.com 으로 인증을 받으셔야합니다.

여기에는 본인 이름, 회사 사내 이메일계정, 본인 사번(ex. k210000)이 필요합니다.

가입하시고 나서는 조금 시간이 지나면 SSG머니로 들어오더라구요.

이번 창립기념일로 11만원이 지급되었고, 일정 주기로 들어오는 복지포인트가 또 있더군요(정확히 얼마가 어떤 기간이 지나야 들어오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여기까지가 13주차까지 들어왔던 금액이고, 14주차 즉 저번주 금요일에 확인해보니 또 11만원이 들어왔는데 이건 추석명절 관련 포인트지급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비가동일/협력업체
이번 수요일, 목요일을 불가피하게 비가동일로 지정하여 회사를 쉬게 되었습니다. 이유는 협력업체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로 인한 협력업체 노동자 한 분이 돌아가시게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해당 사고와 관련해서 협력업체와 상생한다는 의미에서 애도의 표시인지 모르겠습니다만 비가동을 하게 되었다고…(다른 이야기로는 핵심 부품이라서 부품 수급 때문이라는 말도..)

자세히 알아보니 김해에 위치한 KSM이라는 협력업체로 프레스머신을 통해서 차량 외장재와 플라스틱 내장재 사이에 들어가는 강판 부품들을 만드는 업체였습니다.

백신
네 드디어 2차 백신을 맞았습니다.

크게 걱정은 안했습니다만 맞고나서 바로 잤습니다. 다음날 일어나니 팔도 아프고 어질어질 하더라구요. 계속 누워있다가 오늘이 되어서야 뭐 제대로 돌아다니고 먹고 사람답게 살고 있습니다.


제 포스팅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시는걸 보고 조금 놀라긴 했습니다. 별 생각없이 매주 쓰는 포스팅이었는데 나름 댓글들도 달아주시고 궁금한 부분도 물어봐주시니 감사할따름입니다.

다음 주에 쓸 포스팅에는 이번에 받게 되는 월급과 관련해서 포스팅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아마 그 글을 보실때쯤이면 추석 연휴일거라고 생각됩니다.

코로나 때문에 명절다운 명절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산지가 벌써 2년차인데, 많은 분들 건강한 추석연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