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생활기
[Plant 설계 코드] ASME B31 리스트 본문
순서 | Number | Title |
1 | B31.1 | Power Piping |
2 | B31.2 | Fuel Gas Piping |
3 | B31.3 | Process Piping |
4 | B31.4 |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s for Liquid Hydrocarbons and Other Liquids. |
5 | B31.5 | Refrigeration Piping and Heat Transfer Components. |
6 | B31.8 | Ga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iping Systems. |
7 | B31.8S | Managing System Integrity of Gas Pipelines. |
8 | B31.9 | Building Services Piping. |
9 | B31.11 | Slurry Transportation Piping Systems. |
10 | B31.12 | Hydrogen Piping and Pipelines. |
11 | B31G | Manual for Determining Remaining Strength of Corroded Pipelines. |
계속해서 공부를 하다보니 계속 눈에 치이는게 ASME B31이다. 중요하다 중요하다 몇 번을 말하고 말해도 정말 부족할 정도로 중요하다. 일본 JIS 규격이 따라가고(한국의 KS도 마찬가지겠지만) 기술 규격의 변화 감지가 가장 잘되며, 개정될때마다 촉각을 기울여야한다는 최고 중요한 서류들이다.
이 코드가 어떤게 있는지 먼저 파악을 하려다보니 이런 포스팅까지 올린다.
한국은 KS 규격을 인터넷에서 열람할 수 있지만, 이 놈의 ASME Code 관련 자료는 죄다 정식으로 보려면 구매를 해야한다.(물론 암암리 모두들 어디선가 구해서 보지만서도..)
보다보니 가장 눈에 띄는게 B31.1과 B31.3이다.(당연하게도)
그리고 작년인가 저 리스트를 처음봤을때 가장 특이하게 반응했던 부분이 B31.12 하이드로젠(수소) 파이핑이었다. 기존에 배우길 수소는 일반적인 강관에서는 취성과 관련한 이슈가 있었는데, 이 부분은 어떤 소재의 배관을 사용했으며,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 정말 궁금하다. 언젠간 한번 구해서 봐야할 서류라는 것은 분명한게 현재 미국 사회에서도 수소 경제권을 만드려는 움직임이 있다.
미국 주식을 해본 분이라면 적어도 몇 번은 들어봤을 기업. 플러그파워(Plug Power). 소단위 플랜트를 만들어 수소를 만드는 방식이라고 들었던 것 같다. 이 수소를 수전해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고 이걸 가져다 액화수소 플랜트에서 처리해서 이를 탱크로리로 운반해서 수소충전소에 공급한다 뭐 그런 계획인 셈이다.
SK에서도 이 사업에 투자를 했는데, 들리는 소문(말그대로 소문)에는 미국 국방부에서 군용차량에 수소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트럭을 도입할 수 있다 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전기차는 충전시간의 한계가 있다보니 이걸 수소로 바꿔서 친환경에 접근하겠다는 이야기였다.
공부를 하면서도 또 다른 공부를 매일 하는 기분이다.
'(前) PLANT DESIGN > Plant 설계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공부]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분산제어시스템이란 (0) | 2021.06.21 |
---|---|
[설계공부] 배관두께스케줄 (Wall Thickness Schedules) / <ASME B36.10 B36.19> (0) | 2021.06.20 |
[설계공부] 파이프와 튜브의 차이점 (0) | 2021.06.18 |
Summary of Piping Design ; 配管設計の概要;배관설계 개요 (0) | 2021.06.13 |
[PDMS]단축키 모음 (0) | 202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