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생활기
[설계공부도서] Process Plant Layout 본문
최근에 찾게되어 정독하게 된 책. 프로세스 플랜트 레이아웃.
2016년에 대략 두 달간에 걸쳐서 프로젝트를 했던 적이 있다. 당시 진행한 프로젝트가 항만하역저장플랜트 설계였다. 5만톤 정도의 벌크선에서 사료용 벌크곡물을 이송하여 저장시설에 약 2-3주간 저장, 이송용 차량에 적재할 수 있도록 설비를 설계하는 작업이었다.
당시에 우리 팀이 진행했던 과정은 대략 6주 정도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각 주차별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었다.
주차 | 내용 |
1주차 | 실제 관련 플랜트 시설 탐방 및 계획 수립 |
2주차 | 초기 조건 설정 및 계산 초기 조건에 따른 장치 선정 조건에 따른 공장부지 확정 가공공정도 작성 |
3주차 | 상세 조건 설정 및 계산 상세 조건에 따른 장치 재선정 가공공정도 수정 |
4주차 | 초기 조건 및 상세 조건의 정리 가공공정도 최종안 공정별 설계값 도출 및 Equipment 선정 공정별 특징을 고려한 Layout 작성 |
5주차 | |
6주차 | 기계설계 및 선정 배치 및 운영사항 경제성 및 타당성 분석 |
물론 위의 주차에 따른 내용들의 순서가 지금에 와서 파악해보면 뒤틀린 부분들이 많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라는 말처럼 과거의 내가 했던 작업물에 대해 작업 당시에는 상당히 자부심을 가지고 작업을 했었는데, 지금와서 뭔가를 조금 배우고 보니 참 잘못된 부분이 많다는 걸 느낀다.
보통 경제성 및 타당성 분석에 해당하는 과정은 Feasibility Study 즉, 예비조사, 타당성조사라고 하는 것이다. 실제 프로젝트들에서는 가장 먼저 Conceptual Study와 함께 진행을 한다는걸 알게 되었다. 그 이후에 FEED를 진행하고 상세설계 및 EPC에서 진행하는 과정들이 진행된다.
지금 생각해보면 내가 진행했던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저 책을 보면서 진행했다면 훨씬 더 정석적으로 진행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각 공정이나 시설에 따른 법령과 관련 용어,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각 시설별 입지조건, 관련 설비들의 고려조건들에 대해서 잘 서술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총 여섯 파트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PART 1 . General Principles / 일반원칙
PART 2 . Detailed Site and Plot Layout / 상세 부지 및 Plot 레이아웃
PART 3 . Detailed Layout of Equipment / Equipment의 상세 레이아웃
PART 4 . Detailed Layout: Materials Transfer Systems / 상세레이아웃 : 물질이송시스템
PART 5 . Detailed Layout: Other : 상세레이아웃 : 그 외
PART 6 . Appendicies / 부록
저것보다 훨씬 더 상세한 내용들이 들어있지만 자세히 설명은 어렵다.(나도 읽고 있는 중이기에..)
이전에 리뷰한 책도 다시 보는 중인데 새롭다. 다시 읽어도 새롭고 다른 지식들이 머리에 들어오고 새롭게 들어온 다른 정보가 머릿속에 들어오면서 은연중에 이건 왜 이렇지 생각도 못한 부분들이 갑작스레 "아!" 하면서 이게 이래서 이런가 보다 라고 이해를 하게 된다.
플랜트 레이아웃에 대해서 알아보기 상당히 좋은 책이라고 판단된다.
'(前) PLANT DESIGN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공부도서] PIPE STRESS ENGINEERING (0) | 2021.08.04 |
---|---|
[설계공부도서] 플랜트/Plant/배관공부 일본도서-(1) (0) | 2021.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