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생활기

[설계공부도서] 플랜트/Plant/배관공부 일본도서-(1) 본문

(前) PLANT DESIGN/BOOK

[설계공부도서] 플랜트/Plant/배관공부 일본도서-(1)

인니외노자 2021. 5. 27. 20:37

아마 작년 이 때쯤 회사 내정을 받고 쭉 기다리면서 프로그래밍 공부를 좀 했었다. 그러다 아 이래서는 안되겠다고 생각했는지 설계공부를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했나보다. 아마 작년 12월쯤이었던것 같다. 당시에는 일본에 바로 입국할 수 있을거란 생각을 하고, 업무 OJT 2달을 진행하고 바로 업무 투입되면 빈틈없는 신입이 되고 싶었던 모양이었다.

 

사실 본인 성격도 빨리빨리 뭔가 캐치하고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것은 모조리 다 해버리자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는 덕에 그런 경향이 더 컸다.

 

자 그래서 본인은 무슨 책을 가지고 배관공부를 했고, 플랜트 공부를 했는가? 라고 묻는가라면 아래와 같다.

그 첫번째 책이다. 

 

 絵とき 配管技術 基礎のきそーMechanical Engineering Series 西野悠司(著)

絵とき 配管技術 基礎のきそ

한마디로 이 책을 설명하자면 "아 이거 배관 기초 아니였나" 라는 반응이 나왔다.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목처럼 배관의 기초와 관련된 모든 역학적 부분이 설명되어있다. 

 

단적으로 과목을 나열하자면

1) 재료역학 : 지지부 응력, 용접부 응력 등

2) 유체역학 : 가장 기본. 내압에 의해 관에 생기는 응력, 압력손실 등

3) 열전달 : 물론 열역학을 알아야한다. 열응력

4) 기계공작법 : 용접, 배관 Seam 처리방식

5) 기계재료 : 당연하게도 철의 성질, 비금속재료의 성질, 부식과 방식

6) 진동공학(진동운동방정식, 공진현상, 유체관련진동, 워터해머링<수격현상>, 내진설계)

7) 배관공학 : 배관 구성요소에 대한 개론, 배관, 배관 이음매, 밸브 등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들을 전부 나열하고나니 어지간한 전공과목 다 나온것 같다. 

물론 저 과목들을 모두 깊게 나온것이 아닌 꼭 필요한 정보들만 나와있고, 말그대로 기초들만을 설명하고 있다.

 

OJT 자료들 사이에 있는 JIS 규격집을 보면서 '아 이게 왜 기초가 될 수 밖에 없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도서 출판사에서 공개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일어 한국어
第1章 配管計画
1-1 配管技術とは
1-2 配管設計の手順
1-3 配管レイアウトの原則

第2章 管・管継手の強度
2-1 内圧により管に生じる力
2-2 内圧により管に生じる応力
2-3 直管の強度計算式
2-4 管継手の強度計算式
2-5 穴のある管の強度
2-6 例題

第3章 配管の熱膨張応力
3-1 一次応力と二次応力
3-2 熱膨張応力範囲
3-3 熱膨張反力
3-4 配管のフレキシビリティ

第4章 管路の圧力損失
4-1 ベルヌーイの定理と水力勾配線
4-2 ダルシー・ワイスバッハの式
4-3 経験式
4-4 拡大・縮小、管継手・弁の損失
4-5 圧縮性流体の圧力損失
4-6 例題

第5章 配管の振動
5-1 配管振動の基本的な考え方
5-2 振動の運動方程式をたてる
5-3 機械的振動-梁の共振
5-4 機械的振動-流体関連振動
5-5 音響的共振
5-6 ウォータハンマ
5-7 配管の耐震設計

第6章 配管の腐食と防食
6-1 配管の腐食・防食の基本
6-2 異種金属間のガルバニック腐食
6-3 電気防食の原理
6-4 電気絶縁
6-5 配管における代表的な腐食

第7章 鋼の性質と管・管継手
7-1 鋼の性質
7-2 配管に使われる管
7-3 鋼管の呼称とスケジュール番号
7-4 鋼管の種類と用途
7-5 鋼管以外の管
7-6 管の接合方式
7-7 管継手

第8章 材料力学とハンガ・サポート
8-1 サポートの材料力学
8-2 ハンガ・サポート
8-3 レストレイント・防振器

第9章 伸縮管継手
9-1 伸縮管継手の種類と構造
9-2 推力の大きさとその対処方法
9-3 べロース形管継手のプリセット
9-4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第10章 弁
10-1 弁の形と名称
10-2 一般弁のプロフィール
10-3 安全弁のプロフィール
10-4 弁の圧力-温度基準
10-5 調節弁
10-6 弁駆動部

第11章 配管のスペシャルティ
11-1 ストレーナ
11-2 スチームトラップ

第12章 配管の溶接設計
12-1 配管で使う溶接方法
12-2 配管の溶接に際しての注意
12-3 突合せ溶接とすみ肉溶接
12-4 溶接部の強度と疲労
12-5 溶接部の変形と残留応力
제1장 배관계획
1-1 배관기술이란
1-2 배관설계의 순서
1-3 배관레이아웃의 원칙

제2장 관, 관이음매의 강도
2-1 내압에 의한 관에 발생하는 힘
2-2 내압에 의한 관에 발생하는 응력
2-3 직관의 강도계산식
2-4 관이음매의 강도계산식
2-5 구멍이 있는 관의 강도
2-6 예문(예제)

제3장 배관의 열팽창응력
3-1 1차응력과 2차응력
3-2 열팽창응력범위
3-3 열팽창반력
3-4 배관의 플렉시빌리티(유연성)

제4장 배관의 압력손실
4-1 베르누이의 정리와 수력구배선
4-2 달시-바이스바하의 식
4-3 경험식
4-4 확대・축소、이음매・밸브의 손실
4-5 압축성유체의 압력손실
4-6 예문(예제)

제5장 배관의 진동
5-1 배관진동의 기본적인 고려방식
5-2 진동의 운동방정식 세우기
5-3 기계적진동-보의 공진
5-4 기계적진동-유체관련진동
5-5 음향적 공진
5-6 Water Hammer(워터 해머)
5-7 배관의 내진설계

제6장 배관의 부식과 방식
6-1 배관의 부식・방식의 기본
6-2 이종금속간의 갈바닉부식
6-3 전기방식의 원리
6-4 전기절연
6-5 배관에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식

제7장 강의 성질과 관・관이음매
7-1 강의 성질
7-2 배관에 사용하는 관
7-3 강관의 호칭과 스케줄번호
7-4 강관의 종류와 용도
7-5 강관이외의 관
7-6 관의 접합방식
7-7 관이음매

제8장 재료역학과 행거・서포트
8-1 서포트의 재료역학
8-2 행거・서포트
8-3 Restraint・방진기

제9장 신축관이음매
9-1 신축관이음매의 종류와 구조
9-2 추력의 크기와 그 처리방법
9-3 밸로즈형관이음매의 프리셋
9-4 플렉시블튜브

제10장 밸브
10-1 밸브의 형태와 명칭
10-2 일반밸브의 프로필
10-3 안전밸브의 프로필
10-4 밸브의 압력-온도기준
10-5 조절밸브
10-6 밸브구동부

제11장 배관의 스페셜리티
11-1 스트레이너
11-2 스팀트랩

제12장 배관의 용접설계
12-1 배관에 사용하는 용접방법
12-2 배관용접시 주의
12-3 맞대기용접과 필렛용접
12-4 용접부의 강도와 피로
12-5 용접부의 변형과 잔류응력

막상 나열하고 보니 정말 넓은 범위다. 범위로만 봤을때는 ASME B31 Code를 비롯해서 ASTM 소재별 사양, 일부 API 규정들까지 눈에 보인다. 아직 눈에 안보이는 코드나 규정들이 많이 있어지만 조금씩 더 공부하면서 엔지니어로서의 힘을 키워나가야겠단 생각뿐이다. 

'(前) PLANT DESIGN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공부도서] Process Plant Layout  (0) 2021.11.27
[설계공부도서] PIPE STRESS ENGINEERING  (0) 2021.08.04
Comments